누구에게나 찾아올 수 있는 무서운 살인자가 있습니다.
그것은 급성 심근경색이라는 질환입니다.
오늘 포스팅은 급성 심근경색의 전반적인 부분과 초기증상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가지도록 하겠습니다.
급성 심근경색
심근경색은 인간의 생명을 위태롭게 하는 아주 무서운 응급질환입니다.
응급이란 말에서 알수 있듯이 언제, 어떻게 우리에게 나타날지 예상할 수 없는 질환입니다.
우리 몸은 심장이 펌푸질을 해서 몸 구석구석으로 혈액를 뿜어주고 그 혈액은 우리 몸에 산소와 영양분을 공급함으로써 생명을 유지할 수 있게 해주는 것 입니다.
급성 심근경색이라는 것은 심장 근육의 젖줄이라고 할 수 있는 관상동맥을 급작스럽게 막히게 되고 작동을 멈추게 하여 생명을 유지하지 못하게 하는 무서운 질환입니다.
급성 심근경색과 협심증과는 다른 질환입니다.
급성 심근경색은 혈전이 관상동맥을 갑자기 막게 되고 이로 인해 혈액이 심장근육으로 공급을 하지 못하게 되어서 발생하게 됩니다.
협심증은 관상동맥이 동맥경화로 좁아져서 생기는 질환입니다.
급성 심근경색의 무서운 점은 높은 사망률에 있습니다.
급성 심근경색이 발생하게 되면 1/3은 병원으로 이송되기 전에 사망에 이르게 되고 병원에 무사히 도착하게 되더라도 사망률이 10%에 이른다고 합니다.
무사히 생명을 보존했다고 하더라도 골든타임을 놓치게 되어 뇌손상이 발생하게 된다면 영구적인 장애를 가지고 살아가야 하기 떄문입니다.
급성 심근경색의 원인은 관상동맥에 콜레스테롤이 누적되어서 섬유성 막이 생기게 되고 여러가지 이유로 인해 이 섬유성 막이 파열되게 되면, 이떄 콜레스테롤이 혈관내로 들어와서 혈액이 뭉쳐서 생기게 되는 혈전이 발생하게 되고 이 혈전이 관상동맥을 막게 되어 심장 근유으로 가는 혈액을 막게 되고 이로 인해 심장이 정지하게 되는 것 입니다.
급성 심근경색 초기 증상
심근경색이라는 질환의 무서움 점은 50%이상의 환자들이 아무런 전조 증상이 없는데 있습니다.
그래서 무엇보다 중요한 것이 심근경색의 초기증상을 정확하게 알고 심근경색 초기 증상이 발생하게 되면 신속하게 병원으로 가서 정확한 진단과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이 무엇 보다 중요합니다.
심근경색 초기 증상에 대해 하나씩 알아보겠습니다.
1. 가슴 - 어깨 - 목 -팔로 이어지는 극심한 통증
우리는 가슴에 발생하는 극심한 통증만을 생각하는데 어깨나 목, 팔에 통증이 심근경색 초기 증상인 경우도 있다고 합니다.
어깨와 목이 너무 아파서 병원을 방문했는데 심근경색 질환을 진단 받는 경우가 있다고 하니 중의 하셔야 할 것 입니다.
2.극심한 가슴통증
가장 대표적인 급성 심근경색 초기 증상이 가슴의 극심한 통증입니다.
이떄 극심한 통증이라는 것은 이루말할 수 없는 고통으로 이전에 경험하지 못한 통증이라고 합니다.
이런 고통이 발생한다면 즉시 119에 신고를 해서 119 구급차로 이동해야합니다.
3.호흡곤란
체한 느낌이 들면서 호흡이 가빠지고 답답함을 느끼게 된다면 이 또한 심근경색 초기 증상이라고 합니다.
체기가 있는데 호흡이 가빠진다면 빠르게 병원을 방문하셔야 합니다.
4.식은땀
얼굴에서 청색증이 나타나면서 식은땀이 매우 위금한 상황이라고 생각하셔야 합니다.
이럴경우는 신속하게 119에 신고 하고 병원으로 이동해야합니다.
5.구토, 구역 증상
급성 심근경색의 경우 1/4 이상이 가슴 통증을 느끼지 못하고 구토, 구역 증상이 나타난다고 합니다.
이런 증상은 체했다고 생각하기 쉬워서 초기에 발견을 못하는 경우가 있으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이상으로 금성 심근경색 초기 증상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질환의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갑작스럽게 우리에게 다가오는 질환이 즙성 심근경색입니다.
전조증상이 없기 떄문에 다른 검사를 통해 찾기가 어려워서 더욱 무서운 질환이기도 합니다.
그렇기 떄문에 급성심근경색의 초기 증상을 알아두는 것이 중요합니다.
가슴의 통증 외에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가볍게 생각하고 넘어가는 경우가 많습니다.
집에 심장질환 가족력이 있으시다면 급성 심근경색 초기 증상에 대해 잘 숙지해 두시는 것이 중요합니다.
급성 심근경색은 신속한 병원 이송과 빠른 치료가 생존률을 높일수 있다는 것을 유념하시고 증상이 의심되면 신속하게 병원으로 이동하십시오.
이동을 할 떄는 자가 차량이나 택시를 이용하시지 마시고 119구급차를 이용 하시는 것이 중요합니다.
끝까지 저의 포스팅을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건강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황장애 초기증상 (0) | 2021.01.25 |
---|---|
ADHD 증후군의 시기별 증세 (0) | 2021.01.16 |
하지정맥류 증상 (0) | 2021.01.13 |
콜레스테롤 낮추는 방법 (0) | 2021.01.12 |
대장 내시경 전 음식 주의사항 (0) | 2021.01.10 |